1. 관찰법
관찰법이란 연구 대상을 직접 관찰하여 필요한 정보와 증거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모든 문제의 인식은 주로 관찰을 통하여 시작되는 것이므로 많은 연구의 기초가 된다.
관찰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아무런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 행동을 가장 광범위하게 관찰할 수 있다.
- 직접 관찰하므로 즉각적인 확인이 가능하다.
관찰법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 관찰자의 주관이 개입되기 쉽다.
- 따라서 비과학적이라는 비난받기 쉽다.
- 나타난 현상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것이 곤란할 때가 많다.
- 관찰자마다 해석이 각기 다를 수 있다.
- 표준화가 곤란하다.
따라서 관찰법이 보다 과학적인 방법이 되기 위해서 관찰자는 다음 몇 가지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 객관적인 태도로 관찰하여야 한다.
- 편견이나 선입관 등 개인적인 감정이 개입되지 않도록 한다.
- 연구목적에 따라 무엇을, 언제, 어떻게, 관찰할지에 관한 면밀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 식견 있는 관찰자로서 객관적인 태도로 정확하게 기록하여야 한다.
- 행동의 인과관계를 충분히 기록하여야 한다.
따라서 관찰을 통한 행동의 결과만을 기록한다면 한 인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하며 그 같은 행위가 어떤 상황에서 왜 일어나게 되었는지에 대한 충분한 서술도 포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 충분한 기간 여러 상황에서의 관찰이 이루어져야만 한 개인의 행동 근간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하여 그 사람에 대한 참다운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2. 실험법
실험법은 관찰하고자 하는 특정한 행위를 연구목적에 따라 인위적으로 조건과 상황을 조작하여 그 조작에 따른 행동의 변화를 관찰하고 측정하여 행동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규명함으로써 연구 대상의 행동을 이해하는 방법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몀 실험법은 통제적 관찰법이며 체계적 관찰법이다. 실험법의 원리는 비교적 간단하다. 즉
- 실험자는 어떤 것을 변인으로 할 것인지를 정하고
- 그 외 다른 조건은 일정하게 통제하고
- 그 변인에 따른 변화를 관찰한다.
3.질문법
질문법은 미리 준비한 문제를 질문하여 그 응답에 따라 그 문제에 대한 지식과 이해 혹은 의지와 사고 그리고 태도 등을 알아보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는 질문지법과 면접법이 있다.
4. 사회성 측정법
사회성 측정법은 미국의 Moreno가 주창한 것인데 집단을 구성하는 집단구성원 상호 간의 거리를 포착하려는 것이었다. 즉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집단의 성질, 구조, 역동성, 상호작용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이다.
Moreno는 사회성 측정법이라고 불리는 교우관계 조사를 뉴욕시에 있는 한 공립학교에서 실시하였다. 그 조사내용은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자기와 같이 앉고 싶은 친구들을 선택하여 보라는 질문지 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 어떤 학생은 좌석을 같이 하고 싶은 친구로 집중적으로 선택되었으나 어떤 학생은 전혀 선택받지 못하였고 대부분의 학생은 그 중간 정도에 있는 현상이 밝혀졌다. 이러한 친구 선택의 관계를 자세히 분석해 본 결과 거기에서 교사들이 미처 알지 못했던 학생들 사이의 사회적 구조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를테면 서로 우정을 맺고 있는 학생들, 몇몇끼리 짝패를 이루고 있는 학생들, 남녀성별에 따르는 분열 등이 그 분석 결과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이처럼 사회성 측정법은 학급 장면에서의 집단이 몇 개의 하위집단으로 분리되어 있는가, 집단 형성의 요인은 무엇인가, 또 개개의 학생이 집단 내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는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등의 연구에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5.자서전 법
자서 전법은 학생 자신의 과거 생활이나 행동 과정을 회상해서 스스로 서술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다시 말하면 학생 개인이 그동안 자신이 자라고 경험하는 과정을 일기와 같은 형태로 쓰게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학생이 되도록 많은 사실을 있는 그대로 자세히 자연스럽게 표현시키는 방법이다.
6. 투사법
투사법이란 Freud 중심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개발된 검사법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잠재해 있는 무의식적인 욕구, 감정, 태도, 충동 등을 다른 대상에 투사시켜 통찰하는 방법으로 주로 성격검사에 사용된다. 이 방법은 Frank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는데 그는 투사법의 특징을 피험자의 개인적인 세계와 성격의 형성과정을 다양하게 표현시키는 것이라 하였다. 투사법은 자극 자료가 비구조화되어 있으므로 피험자들이 의식적으로 자신에 대한 왜곡된 반응을 할 확률을 최대한 줄여 줄 수 있다. 마음속 깊은 곳에 숨겨져 있는 무의식의 세계를 피험자가 의식지 못한 상태에서 드러내도록 함으로써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성의 발달, 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 (0) | 2023.01.09 |
---|---|
귀인이론, 포부수준,감성지능 (0) | 2023.01.09 |
자아개념의 발달과 학업성취 (0) | 2023.01.08 |
교육심리학의 정의적 특성, 동기,동기위계설 (0) | 2023.01.08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그외 인지발달이론 (0) | 2023.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