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아개념의 발달
자아개념이란 자기 자신에 대해 가지는 생각, 감정 등 자기 지각의 총체이다. 즉 자아개념은 나는 누구인지 나는 어떤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나의 장·단점은 무엇인지, 가정이나 학교 및 사회에서의 나의 위치와 가치는 무엇인지 등에 대한 자기 지각의 전체적 총체이다. Byrne도 Rogers와 마찬가지로 자아개념이란 한 개인이 자기의 행동 및 한 인간으로서의 자기 가치에 관련하여 지니고 있는 태도, 판단 및 가치의 전체 집합체로서 자기 자신을 어떻게 평가하고 지각하느냐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황정규는 자아개념은 자기 자신에 대한 자아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이라는 심리적 개념이 같은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였다. 그는 자아 자신감이란 어떤 과제를 할 수 있다는 자기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서 매슬로의 자아 이론이 그 기초를 제공하고 있고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을 자기가 얼마나 좋아하느냐 하는 개념으로서 Rogers의 자아 이론이 그 기초를 제공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자아개념의 발달은 사회적 환경과 경험의 영향을 받는다. 자아개념은 자신에게 중요한 타인, 즉 부모, 교사, 친구 등의 평가나 애정 및 수용 등이 자아개념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어린이들은 자기 행동에 대해 잘했는지 잘못했는지 알지 못하며 그 평가 기준은 의미 있는 성인에 의해 결정된다. 자아개념은 생득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의미 있는 환경 속에서 계속된 경험의 결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형성과 변화의 과정은 발달과정에서 개인이 처하는 다양한 환경에 의해서 달라지는데 자아개념의 형성과 발달에 관한 이론과 연구 결과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개념은 발달 초기에 부모와의 상호작용에서 형성되고 발달하며 형성된 자아개념은 인간관계를 통하여 계속 수정되고 변화한다.
둘째, 타인에 의한 평가의 경험이나 성공과 실패의 경험에 의해서 자아개념은 더욱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변화한다.
셋째, 분열적 생의 경험과 가정적 결손은 부정적 자아개념을 형성시키며 특히 정서적 동요는 자아개념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
넷째,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아개념은 더욱 견고해지고 성년기를 통하여 안정되게 된다.
다섯째, 여자가 남자보다 자아개념의 형성에 있어서 가정환경의 영향을 더 받는다.
2. 자아개념과 학업성취
자아개념은 정의적 특성 중 가장 크게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하나로서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능이 같은 두 학생이 어떤 과제에 당면했을 때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과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의 과제 수행 결과는 차이가 크다고 한다. 이것은 긍정적 자아개념이 안전감과 자존감을 유지하게 하고 효과적으로 사회접촉을 할 수 있게 하는 데 반해 부정적 자아개념은 불안정해지고 자존감을 상실하게 하고 사회적 접촉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육에서 긍정적 자아개념이 어떻게 형성, 발달하여가는가 하는 것은 주요한 관심사이다. 학업성취에서 계속된 성공 또는 실패 경험은 학문적 자아개념 형성에 누가 적 영향을 미친다. 학업성취의 성공과 실패 경험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커서 학업성취가 우수한 학생은 학문적 자아개념이 점점 높아지는 데 비해 학업성취가 낮은 학생은 자아개념이 점점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능력 자아개념이 현재의 학업성취의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경험이 누적되어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아개념과 학업성적이 상관이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대부분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지만 두 특성 간의 인과적 방향에 대해서는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어떤 학자는 학업성적이 자아개념 형성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는 반면 어떤 학자는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고 있고 또 다른 학자는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들은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을 위한 중요한 매개변인이 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학업성적이 학생의 자아개념 발달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자아개념은 학생의 학업 성적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여러 연구는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학생일수록 학교생활에 보다 잘 적응한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성의 발달, 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 (0) | 2023.01.09 |
---|---|
귀인이론, 포부수준,감성지능 (0) | 2023.01.09 |
교육심리학의 정의적 특성, 동기,동기위계설 (0) | 2023.01.08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그외 인지발달이론 (0) | 2023.01.07 |
인지적 특성, 지능,창의성 (0) | 2023.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