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학

성격의 이해, 성격의 의미,성격이론

by 머니트랜드마스터 2023. 1. 4.
반응형

1. 성격의 의미

 

일반적으로 성격이라는 말은 사회적 관계에서 한 개인이 나타내 보이는 특성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 사람은 상당히 활동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또는 `그 사람은 아주 꼼꼼한 성격의 소유자다` 등과 같이 한 사람이 사회적 상황에서 일관되게 보여주는 심리적인 특성을 표현한다. 그런가 하면 어떤 사람의 성격을 `원만하다` `모나다` 등으로 표현하여 약간의 평가적인 의미를 부여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심리학에서는 성격이라는 용어를 한 개인의 사회적 관계뿐만 아니라 여러 다양한 상황에 적용해서 보다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 한 개인의 심리적인 특성 전반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비 평가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가면이란 뜻에서 유래한 성격의 뜻은 개인이 자기를 둘러싸고 있는 다른 사람에게 주는 전체적인 인상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격 그 속에는 모든 다른 사람들과 같은 점도 있고 일부 몇 사람들에게만 공통된 점도 있다. 그러므로 성격이란 개인의 행동과 사고를 규정하는 일반적 경향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어느 한 개인의 행동과 사고는 그의 독특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사람을 사람답게 혹은 그렇지 못하게 규정하게 된다. 성격을 인격이라 할 때는 그 속에 그의 인격이 높다, 혹은 인격자다, 인격자가 아니다 하듯이 어떤 가치적이거나 윤리적인 것이 포함되어 있다. 인격자라고 하면 윤리적 가치평가에 의한 높은 도덕성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듯이 인격의 내용에는 도덕성의 기초가 되는 사상, 특히 사회적 배경과 결합한 사회사상의 문제가 내포된다. 성격과 비슷한 개념으로 혼동해서 쓰이는 것 가운데 또한 기질이란 말이 있다. 본래 기질이란 정서적인 특징을 띤 것으로서 자극에 대한 감정적인 반응이 강한지 약한지 빠른가 느린가 하는 경향을 말한다. 개성 또한 흔히 성격과 비슷한 개념으로서 혼동해서 쓰이는 말이다. 개성은 개인의 고유한 생리적, 심리적인 특성으로서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성격의 차이 혹은 독자성에 중점을 둔 개념이다.


2. 성격이론

1) 유형론적 견해

인간의 성격을 대표하는 몇몇 유형을 선정한 후 개인의 특성이나 고유성을 이러한 틀에 맞추어 이해하려는 입장을 나타내는 이론들을 유형론적 견해라고 한다.

- Hippocrates의 체액 기질 설
Hippocrates는 이미 기원전에 체액 성분과 기질 간에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사람의 체액은 혈액, 흑담즙, 황담즙, 점액이 있는데 각 개인의 체액 성분 비율은 각각 다르며 이러한 체액의 비율적 차이에 따라 개인의 기질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즉 혈액의 체액을 많이 지닌 혈액 질의 기질을 가진 사람은 온정적이고 사교적이며 흑담즙을 많이 지닌 우울질의 기질은 신경이 예민하고 우울하고 보수적인 경향이 강하며 황담즙이 많은 담즙질의 기질은 쉽게 흥분을 잘하고 용감한 특성을 지니는 데 비해 점액이 많은 점액질 기질은 냉정하고 둔한 특징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 Kretschiner의 체격 설
- Sheldon의 형태 기질 설
Sheldon은 Kretschmer의 주장을 받아들이면서 형태 유형과 기질 유형과의 사이에 어떠한 일치점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사람의 체형 결정에 생물학적 인자가 크게 관여한다는 입장을 덧붙였다. 사람의 체형은 수정란이 분열하여 성장하는 과정에서 수정란의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의 어느 부분이 더욱 발달하는가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이다. 
- Lanasteiner의 혈액형 기질성
- 이제마의 사상체질
사상의학은 한국에서 나온 의학이론으로 1894년에 이제마가 창시한 체질의학이다.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의 네 체질로 분류하여 각각의 심신 균형을 추구하는 의학으로 체질적 치신 정기를 바탕으로 하는 치심치병의 정신을 근본으로 삼고 있다.

2) 특성론적 견해

 

특성론에서는 개개인의 성격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그들의 공통성과 특성의 양적 이해에 관심을 둔다. 특성이란 다양한 상황에서 항구적 혹은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행동 경향으로서 성격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다. 

-Allport 이론
Allport 는 특성이 한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보았으며 이러한 특성에는 크게 공통 특성과 개별 특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Cat tell 이론
- Eysenck 이론

3) 정신분석학적 견해

성격에 관한 가장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을 제시한 심리학의 분야가 정신분석학이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인간의 모든 행동에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반드시 그런 행동을 유발한 동기가 있다고 봄으로써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그 행동의 동기적 측면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렇게 인간 행동의 동기적 측면을 중시한 정신분석 이론은 인간 행동의 다양한 개인차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 Freud의 이론
- Adler의 이론
- Sullivan 이론
- Fromm과 Honey 이론

4) 현상학적 견해
현상학적 이론에서는 자신의 의지로 자기의 삶을 끌어내 갈 수 있는 자기실현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강조하며 개인이 자기의 주변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여 받아들이느냐에 주된 관심을 갖는다. 

- Rogers 이론
Rogers의 현상적 이론에서 강조되는 것은 개인의 지각된 현실, 주관적 경험, 실현을 위한 유기체의 노력, 성장과 자유에 대한 가능성 등이다.
- Maslow이론



반응형

댓글